불교란 무엇인가
고려시대 불교하면 내게 떠오르는 인상은 고려시대의 국교였고 정치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친 사실이다. 드라마 ‘신돈’에서 신돈이 정권을 잡기 전 ‘왕사’가 차지하는 위치로 보건대 불교는 고려의 정신세계를 지배한 종교였다. 이러한 고려시대의 불교를 이해하고자 책을 읽었지만 전부 읽지는 못했다. 불교에 관련된 내용만 읽었고 또 그 내용이 고려가 사상통일성을 추구한 내용에 치우쳐서 아쉽기는 했지만 고려시대 불교의 위상과 내용을 자세히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나는 팔관회를 불교의 영향을 받은 제천행사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이건 단편적인 사실에 불과하며 팔관회는 각 지방 단위에서 행해지던 다양한 제의형식인 성황신앙이나 향도신앙을 묶어 사상적인 통일성을 추구했던 의례로, 신라시대 때는 전쟁에서 죽은 군인들을 위한 제사였으나 고려왕조로 들어선 후 하늘과 명산대천에 대한 제사, 즉 제천의식의 형태로 변화한다. 태조는 ‘훈요십조’에 연등회는 불교의식으로 팔관회는 하늘과 산천에 대한 제의로 규정해놓았다. 그리고 태조는 역시 ‘훈요십조’에서 고려시대 사상의 방향에 대해 매우 의미 있는 언급을 했다. 곧 고려왕조가 불교에 힘입어 건국되었다 하여 불교의 역할을 중시하면서도, 함부로 사원을 짓거나 승려가 정치에 참여하는 것은 억제되어야 한다고 했다. 장차 불교가 낳을 페단을 경계한 것이다. 나아가 태조는 풍수지리, 제천행사의 중요성과 유교윤리에 입각한 제도의 확립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흔히 알려진 대로 고려의 국교는 불교, 조선의 국교는 유교라는 이해와는 전혀 다르다. 태조의 언급대로 실제 고려왕조는 조선왕조와는 달리 매우 다양한 종교와 사상이 공존하는 사상풍토를 갖고 있었다. 그래서 고려왕조의 공식적인 종교행사에서는 불교뿐만 아니라 도교, 유교, 제천의식이 아무 거리낌없이 시행되었다. 다음으로 고려왕조의 사상적 특성을 잘 보여주는 향도신앙과 성황신앙을 살펴보겠다.
향도신앙은 부처님에게 비는 기불신앙으로 불교적인 ...
· 해피레포트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손상된 파일/설명과 다른자료/중복자료 등) 1주일이내 환불요청 시 환불(재충전) 해드립니다.
(단, 단순 변심 및 실수로 인한 환불은 되지 않습니다.)
· 파일이 열리지 않거나 브라우저 오류로 인해 다운이 되지 않으면 고객센터로 문의바랍니다.
· 다운로드 받은 파일은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야 하며,자료의 활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다운로드 받은 회원님에게 있습니다.
저작권안내
보고서 내용중의 의견 및 입장은 당사와 무관하며, 그 내용의 진위여부도 당사는 보증하지 않습니다.
보고서의 저작권 및 모든 법적 책임은 등록인에게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 문제 발생시 원저작권자의 입장에서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저작권침해신고 바로가기